종이 동물원 - 켄 리우 [원서로 읽은 게 아니다. 한국어 번역본으로 읽었다. 책 표지가 한국어 본 보다 영어본이 더 예뻐서 올렸다.] 1판 1쇄 나온 뒤 바로 사서 읽었다. 트위터에 이 책이 자주 보여서 궁금해서 샀다. 이 책은 SF/판타지 단편 모음집인데 대부분 SF 소설이다. 표제작인 '종이 동물원'은 보편적인 주제를 익숙한 소재를 통해 풀어나갔는데 결말 부분에서는 가슴이 찡해졌다. 미국인 백인 아버지와 '우편 배달' 신부인 중국인 어머니를 둔 남자가 이야기의 화자이다. 어릴 때 엄마가 만들어 주었던 종이 동물들이 신기한 마술로 저절로 움직여서 어린 시절 화자와 같이 놀아주었던 이야기로 시작해서 중국 근현대 여성의 수난사로 묵직하게 이야기가 끝난다. '천생연분'은 AI의 디스토피아를 다루고 있다. 나도 집에서 구글홈(말로 명령이 가능한 AI 스피커)을 쓰고 있어서 더 재미있게 읽었다. '즐거운 사냥을 하길'은 구성이 독특했다. 처음엔 요괴와 요괴 사냥꾼의 이야기였는데 갑자기 스팀 펑크로 확 장르 전환을 하더니 멋지게 끝이났다. 하지만 중간에 성매매 여성의 몸의 일부를 인공 부품으로 바꾸는 대목이 나온다. 이 대목에서 갑자기 욕조 물마개를 뽑아버린 것처럼 기분좋은 감상이 싱크홀로 확 빨려내려가는 이상한 기분이었다. '레귤러'는 아시아 성매매 여성만 대상으로 한 연쇄살인마 이야기를 대상으로 한다. 인간의 신체를 기계로 바꾸는 시대에서도 성매매 직업군은 사라지지 않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파'와 '모노노와레'는 세계관이 연결되는 것 같다.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서 인류를 정찰 우주선에 태워서 다른 별에 정착을 시도한다. 이 와중에 인간의 몸은 새로운 행성에 적응해서 예상할 수 없는 형태로 진화해나가고 이야기도 예상을 벗어난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 두 단편 말고도 '상급 독자를 위한 비교인지 그림책...
1. 자주 꾸는 악몽 나는 대학 시절 학점이 좋지 않았다. 꿈 속의 나는 졸업생 신분으로 다시 학부 수업을 재신청한다. C 학점의 과목들을 다시 들어서 A 학점을 받은 다음 내 평균 학점을 올리는 게 내 목표다. 그런데 결말엔 항상 시험날을 놓치거나 해서 재수강했던 과목 학점을 낙제하여서 대학 졸업장까지 박탈 당하는 꿈을 자주 꾸었다. 오늘 아침에도 똑같은 꿈을 꾸었는데, 결말이 조금 달랐다. 대학에 다시 들어가서 수업을 재수강했지만 낙제는 하지 않았고 내 졸업장도 지킬 수 있었다. 악몽에서 졸업한 기분이다. 2. 플레이모빌 여름이면 수퍼 미그로(Migros)에서는 20프랑 구입액마다 스티커를 주는데 이 스티커를 다 모으면 한정판 미그로 플레이모빌을 준다. 나는 아래 사진에 있는 수염난 플레이모빌을 갖고 싶어서 요즘 미그로에서 열심히 물건을 사고 있다. 오늘은 40프랑어치 아몬드 우유를 샀더니 캐셔 소녀가 스티커를 하나 더 주었다. 스티커가 예쁘기도 하고, 캐셔 소녀의 선의도 기릴 겸 스티커 하나는 랩탑 컴퓨터에 붙였다. 3. 급우의 취직 내가 다니는 학교(직업 학교와 대학교의 중간)의 급우 한명이 인턴을 하더니, 그 회사에 정식으로 취직되었다고 했다. 어느 회사냐고 물어보니까 롤렉스라고 했다. 부럽지만 내게 떨어진 임박한 목표는 학교에서 잘리지 않고 무사히 졸업하기이다. 4. 줄리앙의 도움 지금 하고 있는 과제가 계속 실패해서 괴로워하고 있는데, 오늘 줄리앙이 많이 도와주었다. 프로그램 실행 로그만 보고 바로 버그의 원인을 알아내는 것이 몹시 놀랍다. 줄리앙은 졸업하면 좋은 회사 취직하겠지. 줄리앙의 도움으로 어느 정도 프로젝트가 마무리 되어서 줄리앙의 집까지 가는 길에 같이 걸었다. 5. 그 외 옆집 아저씨가 우리 집에 와서 같이 저녁 먹었다. 파트너가 스파게티를 만들었다. 옆집 아저씨가 어릴적 봤던...
모두 거짓말을 한다. Everybody lies.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 지음 책 출간 당시 꽤 화제가 되었던 책인데 최근에야 읽게 되었다. 저자는 구글에서 데이터 분석일을 하고 그 관련으로 논문도 썼다. 데이터 마이닝에 대한 분야를 여러 방면으로 잘 소개한 책이다. 은 구성이 짜임새가 있고 실제 예시들이 재미있었고 사고 방식과 인생에 대한 통찰력도 얻을 수 있었다. [아래는 책에서 인상 깊었던 구절] 인간은 극적인 것에 강한 흥미를 느끼기 때문에 직관에 의지하면 판단이 흔들릴 수 있다. 우리느 기억에 강하게 남는 이야기의 소재가 꽤 일반적으로 과대평가한다. 들은 것이나 개인적인 경험에만 의존하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관해 틀리게 생각하기 쉽다. 데이터 분석 결과는 직관과 다르게 나올 경우가 많다. 그래서 직관보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와 결정을 해야 오류가 덜하다. 빅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는 것들은 여러가지가 있다. 프로이트는 반대 성 부모와의 성경험에 대한 욕구가 어린 시절에는 보편적이지만 이후에는 억압된다는 가설을 내세웠다. 프로이트 시절에는 이를 검증할 수 없었다. 오늘날 pornhub 덕분에 프로이트의 가설을 검증할 수 있게 되었다. 구글에 "나는 ( )와 섹스를 하고 싶다."라는 구글 검색어의 ( )에 엄마를 집어 넣으면 이와 유사한 검색어의 3/4이 근친상관과 관련있다고 한다. 이전에는 짐작만 할 뿐 확인할 수 없었던 영역에 대한 다양한 창을 열어주는 독특한 데이터 소스가 지금은 많다. 새로운 유형의 데이터 제공이 빅데이터의 첫번째 힘이다. 주위에 지켜보는 사람이 없어서 솔직할 수 있는 pornhub 검색어나 구글 검색어에 사람들의 속마음이 잘 드러난다. 솔직한 데이터 제공은 빅데이터의 두번째 힘이다. 작은 집단도 클로즈업해서 볼 수 잇는 것이 빅데이터의 세번째 힘이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남성 중 2%가 동성애자...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