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의 게시물 표시

(독후감) 모두 거짓말을 한다.

모두 거짓말을 한다. Everybody lies.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 지음 책 출간 당시 꽤 화제가 되었던 책인데 최근에야 읽게 되었다. 저자는 구글에서 데이터 분석일을 하고 그 관련으로 논문도 썼다. 데이터 마이닝에 대한 분야를 여러 방면으로 잘 소개한 책이다. 은 구성이 짜임새가 있고 실제 예시들이 재미있었고 사고 방식과 인생에 대한 통찰력도 얻을 수 있었다. [아래는 책에서 인상 깊었던 구절] 인간은 극적인 것에 강한 흥미를 느끼기 때문에 직관에 의지하면 판단이 흔들릴 수 있다. 우리느 기억에 강하게 남는 이야기의 소재가 꽤 일반적으로 과대평가한다. 들은 것이나 개인적인 경험에만 의존하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관해 틀리게 생각하기 쉽다. 데이터 분석 결과는 직관과 다르게 나올 경우가 많다. 그래서 직관보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와 결정을 해야 오류가 덜하다. 빅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는 것들은 여러가지가 있다. 프로이트는 반대 성 부모와의 성경험에 대한 욕구가 어린 시절에는 보편적이지만 이후에는 억압된다는 가설을 내세웠다. 프로이트 시절에는 이를 검증할 수 없었다. 오늘날 pornhub 덕분에 프로이트의 가설을 검증할 수 있게 되었다. 구글에 "나는 (    )와 섹스를 하고 싶다."라는 구글 검색어의 (    )에 엄마를 집어 넣으면 이와 유사한 검색어의 3/4이 근친상관과 관련있다고 한다. 이전에는 짐작만 할 뿐 확인할 수 없었던 영역에 대한 다양한 창을 열어주는 독특한 데이터 소스가 지금은 많다. 새로운 유형의 데이터 제공이 빅데이터의  첫번째 힘이다.  주위에 지켜보는 사람이 없어서 솔직할 수 있는 pornhub 검색어나 구글 검색어에 사람들의 속마음이 잘 드러난다. 솔직한 데이터 제공은 빅데이터의 두번째 힘이다. 작은 집단도 클로즈업해서 볼 수 잇는 것이 빅데이터의 세번째 힘이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남성 중 2%가 동성애자...

권태 (L'Ennui)

이미지
권태 L'ennui  ( 1998 ) http://www.imdb.com/title/tt0168740/ 올해 세 번째로 보게 된 영화. (Anormalisa > Captain Fantastic > ) 1998년 영화였나. 알고보니 국내에서는 2005년에 개봉되었다. 깐에서 상 받은 영화도 아니고 국내에서 잘 될 영화도 아닌데 왜 7년이나 늦게 개봉했는지 모르겠다.  대사가 너무 많아서 당시엔 재미가 없었는데 이제 중년이 되고 나서 다시 보니 재미있다. 생각많고 말 많은 중년 철학 선생이 18세의 어린 여자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 이 여자는 매우 사고가 단순하고 기억력도 좋지 않다. 사고가 단순한 만큼 자기 욕망에 충실하고 속임수도 쓰지 않고 회한도 없다. 이 단순한 소녀의 성격이 매력적이라고 느꼈다.  중년 남자가 젊은 여자를 탐하면 항상 결론은 좋지 않다.  이 영화에서 재미있는 점은 영화과 일본 괴담 형식을 취하고 있다. 한 늙은 남자가 젊은 여자 때문에 죽게 되고, 이를 목격한 다른 남자가 그 젊은 여자를 만나면서 그 남자도 새로운 희생자가 된다는 괴담 형식.